8. 뇌졸중
정의
- 뇌졸중 내지 뇌혈관질환이라고 하는데,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 또는 허혈성 뇌혈관질환과,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 또는 출혈성 뇌혈관질환으로 나뉜다.
원인
병적
- 죽상동맥경화성 혈전증
- 색전증
- 고혈압성 뇌 내 출혈
- 동맥류
-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 동맥염(arteritis)
- 혈액 질환(blood dyscrasia)
-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0
- 고혈압∙당뇨∙심장질환∙동맥경화증
- 수면시간
- 운동
- 스트레스
논문
결론
- 신체기능과 균형, 인지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
-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중 신체기능과 인지에서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
- 신체기능과 균형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실험 절차
- 인지 기능 평가
- MMSE(지남력, 기억, 주의 집중 및 계산, 기억회상, 언어기능, 이해 및 판단)운동 기능 평가
- 근력검사, 관절가동범위검사, 근긴장도검사, 악력검사균형평가
- 버그 균형척도 기능적 상지 뻗기 검사 등
9. 협심증
정의
-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spasm)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혈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원인
- 고령
- 흡연
- 고혈압: 혈압이 140/90mmHg보다 높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 당뇨병
- 가족력: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은 경우
- 이 외에 비만, 운동부족 등
9. 심근경색증
정의
-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원인
- 흡연 (매우 높은 연관성) : 혈관 건강에 아주 큰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이므로 늦어도 중년에 접어들기 전에는 최대한 금연하는 것을 추천힙니다.
- 고지혈증 (매우 높은 연관성) 및 고혈압 : 혈중 지질 프로필의 악화는 혈전생성 위험을 크게 높이며, 고혈압 역시 심혈관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주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서 혈중지질 프로필의 상태 및 변화를 세심히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 당뇨병 및 비만 (높은 연관성) : 당뇨는 심혈관계 전반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질환이며, 비만 및 복부비만도 영향이 이습니다. (남:0.9 이상 여:0.85 이상)
- 높은 호모시스테인 수치 : 호모시스테인 수치의 증가와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과일 및 채소 섭취부족 : 식물성 식품의 섭취 부족은 항산화제의 공급의 제한 요인이며, 상대적으로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영양소의 섭취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악영향을 미칩니다.
- 운동부족 : 운동은 심혈관 기능의 강화와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 가족력 : 유전으로 인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직계에서 심혈관 병력이 있는 경우 위험성은 더욱 증가합니다.
- 알콜 섭취 (연관성 높지 않음) : 술의 경우 높은 관련성이 있다고 평가되지는 않으나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사실입니다.
11. 아토피 피부염
정의
- 아토피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소아기가 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팔오금)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오금)에 습진을 나타낸다. 많은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알레르기 비염, 천식 같은 호흡기 아토피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원인
-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환경적인 요인,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이상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및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의 증가 등이 있다.
아토피피부염이 유전적인 영향은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에서 가족력이 있다는 것이 반영된다. 최근 상당수의 환자에서 필라그린 (filagrin) 유전자의 이상으로 피부장벽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였다고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