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학

2.1 모집단과 표본 추출

 표본 추출 방법 두가지 

1. 확률적 표본추출방법(probability sampling method)
 :표본추출의 방법은 동일한 확률 하에서 표본을 구성

2.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확률과는 상관없이 조사자가 자신의 의지로 표본을 뽑거나 조사 대상이 자발적으로 표번을 구성

 

-확률적 표본추출 방법

  •  1 . 단순 무작위 표본추출
     모집단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표본을 기계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ex) 컴퓨터 추출 난수표
  • 2. 체계적 표본추출
     모집단에 번호를 부여하고 일정한 n개의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ex)선거 당일 출구에서 투표를 하고 나오는 유권자의 숫자를세어 1,11,21,31,41,...번째(혹은 1,101,201,301...번째)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는 경우
  • 3. 비례 층화 표본 추출
     모집단을 여러 개의 이질적 집단으로 구분한 후, 각 집단의 구성 개수에 비례하도록 추출하는 방법 
    ex) 총원10,000명인 A 대학교에서 1,2,3,4학년의 비율은 4:3:2:1이다. 1,000명을 추출하고자 할 때, 각 학년을 구성하는 비율대로 학년별로 각각 400.300,200,100명씩 추출하여 1,000명의 표본을 구성하는 방법
  • 4. 다단계 층화 표본추출
     비례 층화 표본추출에 상-하위 표본 단위를 미리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다시 추출하는 방법
    ex) 총원이 10,000명인 A대학교에서 1,000명을 추출할 때, 먼저 단과 대학별로 구분지은 후 다시 학과별 구성에 맞춰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5. 군집 표본 추출
     모집단의 구성이 내부 이질적이면서 외부 동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모집단 전체를 조사하지 않고 몇 개의 군집을 표본으로 선택해서 조사하는 방법
    ex)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자전거이 구매의사를 조사할 때, 25개 구를 모두 조사하지 않고 표본으로 몇 개의 구를 선택하여 조사하는 방법

    - 비확률적 표본추출
  •  1. 편의 표본추출
     조사자의 편의에 따라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임의적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조사하기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에 비해,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나타내기 힘들며, 실수나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
  • 2. 판단 표본추출
     조사자가 적합하다고 판단한 구성원들을 표본으로 선택하는 방법
    -> 편의 표본추출과 다른 점은 표본으로 선택할지의 여부를 조사자가 판단
  • 3. 할당 표본추출
     모집단의 속성을 대표할 만한 연령, 학력, 직업 등의 구분을 결정하고, 각각에 대한 표본의 개수를 미리 결정한다. 이후 조사자가 결정한 표본의 개수에 따라 임의적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4. 자발적 표본추출
     조사자의 의지와는 별개로 응답자가 원하여 조사에 응하는 경우를 표본으로 선택하는 방법
    -> 관여도(관심도)가 높은 사람들이 주로 조사에 응하게 될 것이므로 결과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확률과 의사결정  (1) 2023.02.05
3.32 기초통계량_산포도_왜도_첨도  (0) 2023.02.03
3.1 데이터의 수집  (0) 2023.01.10
2.3 표본분포와 중심극한정리  (0) 2023.01.10
2.2 표본의 분포  (0) 2023.01.08